FANG, 즉 Facebook(Meta), Amazon, Netflix, Google(Alphabet)의 대표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확장 지수인 NYSE FANG+ 지수를 기반으로 설계된 ETN들이 있습니다. FNGS, FNGO, FNGU는 모두 이 FANG+ 지수를 기반으로 하며 각각 1배, 2배, 3배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ETN입니다. 특히 고성장 기술주에 집중된 지수의 특성상, 이들 상품은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공격적인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지만 동시에 큰 손실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FNGS, FNGO, FNGU의 구조적 특징, 수익률, 리스크, 운용보수, 투자 전략 등을 중심으로 상세히 분석합니다.
FNGS – FANG+ 지수 1배 추종 ETN
FNGS는 MicroSectors에서 발행한 ETN으로, NYSE FANG+ 지수를 1배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이 지수는 기술 및 인터넷 분야의 대표 주식 10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pple, Amazon, Meta, Microsoft, Alphabet, Nvidia, Netflix, Tesla, Baidu, Alibaba 등이 포함됩니다. 모두 혁신성과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이며, 주로 대형 기술주로 분류됩니다. FNGS는 이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추종하기 때문에, 레버리지 효과는 없지만 해당 기업들의 평균 성과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운용보수는 연 0.58% 수준으로, 일반 ETF보다는 다소 높은 편입니다. 이는 ETN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발행기관(Bank of Montreal)의 신용 리스크를 반영한 것입니다. 최근 1년간 수익률은 약 27%를 기록했으며, 5년 누적 기준으로는 연평균 약 28%의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형 기술주의 강세장에 집중된 구성인 만큼, 시장 흐름에 따라 수익률의 변동성도 큰 편입니다. 특히 2022년과 같이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는 시기에는 큰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FNGS는 장기 성장성과 기술 혁신에 대한 확신이 있는 투자자라면 비레버리지 구조로 비교적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선택입니다.
FNGO – 2배 레버리지 FANG+ 추종 ETN
FNGO는 같은 지수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일 기준 2배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FANG+ 지수가 하루에 2% 상승하면 FNGO는 4%의 상승을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일일 레버리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트레이딩에 최적화된 상품이며, 장기 보유 시에는 '복리 효과'로 인해 실제 성과와 지수의 수익률 간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용보수는 연 0.95%로 FNGS보다 높습니다. 이는 레버리지 구조로 인해 더 자주 리밸런싱이 필요하고, 트레이딩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1년 기준 수익률은 약 48%로 매우 높지만, 이는 기술주 상승장의 효과이며, 반대로 하락장에서는 손실이 그만큼 가속될 수 있습니다. 최대 낙폭은 -78% 수준까지 기록된 바 있으며, 연간 표준편차는 60%를 상회하는 등 매우 높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당은 지급하지 않으며, 가격 상승을 통한 자본 수익만을 목표로 하는 상품입니다.
FNGU – 3배 레버리지 FANG+ 추종 ETN
FNGU는 MicroSectors의 대표 상품 중 하나로, FANG+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초고위험·초고수익 ETN입니다. 지수가 1% 상승하면 FNGU는 3% 상승하고, 1% 하락 시에는 3%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하루 단위의 가격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커지며, 투자자는 매우 짧은 기간 안에 큰 수익 또는 큰 손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FNGU는 트레이딩 전용 상품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 역시 연 보수는 0.95%이며, 1년 수익률은 특정 시점에서 70% 이상 기록된 적도 있지만, 동시에 수개월 사이 -90% 이상 하락한 전례도 있습니다. 이는 곱하기 방식의 일일 수익률 적용이 누적 복리 효과와 결합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상승장이 지속될 경우 엄청난 수익률을 낼 수 있지만, 박스권이나 하락장에서는 수익률이 급속히 악화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초단기 고수익을 노리는 적극적 트레이더, 특히 손절과 익절 기준이 명확한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FNG 계열 ETN 비교 요약 및 투자 전략
이 세 상품은 모두 FANG+ 지수를 기반으로 하지만 투자 전략과 성격이 다릅니다. FNGS는 장기 보유가 가능한 구조로, 기술주 섹터 전체에 대한 평균 수익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반면 FNGO와 FNGU는 각각 2배, 3배의 레버리지를 통해 단기 고수익을 목표로 하며, 장기 보유에는 매우 부적합합니다. 특히 FNGU는 하루 만에도 10% 이상의 가격 변동이 가능하므로, 트레이딩 목적 외의 사용은 큰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다음은 간단한 비교표입니다.
항목 | FNGS (1배) | FNGO (2배) | FNGU (3배) |
운용보수 | 0.58% | 0.95% | 0.95% |
수익률(1년) | 약 27% | 약 48% | 최대 70%+ |
최대 낙폭 | -49% | -78% | -90% 이상 |
배당 | 없음 | 없음 | 없음 |
투자성향 | 장기성장형 | 단기공격형 | 초단기트레이딩형 |
결론적으로, FANG+ 지수에 관심이 있다면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따라 알맞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안정성을 우선시한다면 FNGS, 기회를 활용한 단기 트레이딩을 목표로 한다면 FNGO, 매우 공격적이고 고위험 고수익을 선호한다면 FNGU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두 ETN(Exchange Traded Note)이라는 점에서 발행사 신용 리스크와 구조적 리스크를 함께 고려해야 하며, 전체 자산의 일부만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